본문 바로가기
떠기의 교육채널/부모 교육

사춘기 극복 방법! 자녀가 사춘기라면 꼭 보세요

by 떠기의덕 2023. 2. 13.
반응형

 

 

사춘기를 받아들여라


부모님들은 아이를 낳고 양육하며 말로 표현할 수 없는 큰 행복을 느낄 수 있지만, 그에 따른 고민과 아픔도 많은 것입니다. 특히 사춘기가 될 아이에 대한 걱정, "어떻게 해야 할까?" 가 가장 큰 걱정입니다. 부모와 아이의 관계는 사랑이 깊지만, 서로의 생각을 잘 못 알아채면 상처를 입게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특히 사춘기가 되면 대화 시간도 줄어들고, 부모와 아이 사이에 거대하고 두꺼운 벽이 세워질 가능성도 있습니다. 그래서 사춘기 아이와의 대화 방식은 매우 중요하고, 잘못된 대화는 서로에게 상처를 주고 더 두꺼운 벽을 만들 수도 있습니다.

 

 

자기 대상이 되줘야 한다.

사춘기 자녀를 둔 부모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는 자녀의 "자기 대상"이 되어주는 것입니다. 자기 대상이란 자녀를 항상 존중하고 믿고, 지원하는 것을 말합니다. 자신을 온전히 믿는 사람이 있다는 것은 정체성과 자아존중감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부모는 자녀를 판단하지 않고 그대로 바라보는 것도 중요합니다. 어렵게 말을 걸기 어렵다면, 먼저 "바라보는 연습"부터 해보시길 권합니다. 집에서 작업을 하다가 문득 아이를 바라보며, "우리 아이가 지금 무언가를 하고 있구나" 느끼면서 해보세요. 아이들은 부모가 자신을 판단하지 않고 바라보고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자신을 그대로 바라보는 사람이 있다는 것만으로도, 아이들은 세상과 마주할 수 있는 용기를 얻을 수 있습니다.

정서를 이해하라.


사춘기 자녀는 정서적 변화가 큰 기간입니다. 성호르몬의 증가로 인해 신체적 변화도 나타나고, 뇌의 발달이 아직 완료되지 않아 불균형을 겪어 감정이 예민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아이의 행동을 비판하는 것 보다는 상황에서 불가피한 정서적 변화를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녀와의 솔직한 대화를 하라.


자녀와의 솔직한 대화는 유대감을 형성하는데 중요합니다. 부모는 완벽하지 않을 수 있으며, 자주 실수를 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한 경우에도 솔직하게 자녀에게 "미안하다"라고 말하여 실수를 인정하고 사과하는 것이 좋습니다. 공감과 이해를 위한 대화는 자녀와의 관계를 평등하게 하고 상처를 치유할 수 있습니다. 만약 대화가 어렵다면, 자녀와의 공유하는 취미나 활동을 통해 유대감을 형성하세요. 자연스럽게 솔직한 대화가 늘어날 것입니다.

신체적 성장을 확인 하라.


사춘기는 가장 눈에 띄는 변화 중 하나는 신체적 성장입니다. 국립보건원의 조사에 따르면 지방 섭취가 증가하여 호르몬이 촉진되어 사춘기가 빨라져 가고 있습니다. 또한 인터넷을 통한 자극적인 영상물 등 환경적인 요소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사춘기는 신체적, 환경적 측면 뿐만 아니라 정서적 변화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사춘기는 자아정체성을 확립하는 기간으로, 아이들은 '나는 누구인가?' '나의 미래는 어디로 향할까?'와 같은 질문을 생각하게 됩니다. 즉, 오늘날 아이들은 사춘기의 가속화로 인해 어린 나이부터 이러한 고민을 하게 된다는 뜻입니다.

담임 선생님과 상의를 하라.


아이들은 초등학교 고학년에 이르면, '학교에서의 나'와 '집에서의 나'를 구분하기 시작합니다. 가정에서 아이의 모습을 알고 싶으면, 가장 좋은 방법은 아이의 담임 선생님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것입니다. 학교는 아이들이 많은 시간을 보내는 곳이기 때문에, 담임 선생님은 아이의 모습을 상세히 관찰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담임 선생님은 아이의 관계와 행동에 대해 객관적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부모님들이 아이를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담임 선생님에게 학부모 상담을 신청하여 아이에 대해 물어보는 기회를 갖는 것이 좋습니다. 상담을 통해 담임 선생님이 관찰한 아이의 모습과, 그리고 아이가 집에서 어떻게 생활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학부모와 공유하는 노력도 필요 합니다.

반응형

댓글